※ Day1

■ 오프닝 키노트

 카카오톡이 준비하는 내일

 - 코로나로 인해 갑작스럽게 미래의 일상을 살게 됨

 - 오프라인의 상당 부분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'일상의 디지털화' 가속화

 - 카카오톡은 비대면 상황에서 대신 증명/자산과 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역할 수행 예정

   (ex. 디지털 신분증, 인증서, 멀티프로필, 서랍, 지갑)

 - 구독 플랫폼 확대 누구나 편집자 & 퍼블리싱 할 수 있음 (ex. 브런치) 

   좋은 생산자들이 다양하게 활동하고 수익으로 보상받는 선순환 구조

 - 확장된 비즈니스 플랫품 (ex. 쇼핑, 렌탈서비스 인증/계약/주문)

 

 

■ 디지털화된 일상에서 카카오톡이 만드는 새로운 세상

신규 서비스 

- 톡서랍, 팀채팅, 멀티프로필, 인물 검색, 디지털 신분증

 

 

■ 비즈니스. 톡처럼 쉬워지다.

관계의 시작 : 카카오톡 채널

- 채널메세지, 비즈메세지, 챗봇, 포스트, 카카오싱크, 비즈플러그인, 월렛, 비즈니스폼

  (ex. (쇼핑몰)쇼핑, (치킨)배달, (영화관)티켓예매, (정수기)상품구독)

 

타겟의 발견 : 카카오광고

- 성과형 플랫폼 : 카카오 비즈보드, 애드뷰

클릭할 만한 광고를 내어서 적은 금액으로 효율 높이고자 함..

카카오 비즈보드 -> 카카오톡 채널 -> 파트너사 브랜드 가치 증대 -> 사용자 타게팅

 

성장을 지원 : 카카오비즈도구

- 카카오비즈도그 인증체계 일원화 -> 비즈니스 매니저 관리도구

 

고객상담센터 / 상담지원도구 / 유료상품판매지원

채널에 1:1 채팅을 개설한 상담센터를 선보일 예정이고 많은 상담사 초대해서 운영 가능.

상담 요청에 대한 업무 관리 / 업무 분배 지원 도구

상담하시는 분들과 쌓인 상담 이력이 지식 DB화 되고 AI 챗봇 및 상담 지원도구에 자연스럽게 적용 되도록

이 내용은 앞 내용인 카카오톡 채널의 상담채널 영역에서도 이 상담센터가 활용될 것으로 생각

 

 

■ 카카오를 지탱하는 기술에 대하여

기술이 없었다면 지금의 카카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.

이번에 소개할 기술 내용

- mongoDB 활용

- 오픈소스를 활용한 hive 테이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

- 무중단 CDC 기술

- 쿠버네티스를 엔터프라이즈에 도입할 때 유의점

- 9run으로 멀티 클라우드를 싱글 클라우드처럼 사용하는 기술

 

카카오의 일하는 방식

- Open work 세션에서 공개

- 협업과 커뮤니케이션, 도전과 성장, 개발의 가치

 

 

https://if.kakao.com/

 

if(kakao)2020

오늘도 카카오는 일상을 바꾸는 중

if.kakao.com

 

+ Recent posts